## 1-1. 기업가 정신의 정의 ### Entrepreneurship - Entrepreneur의 어원은 **'착수하다', '시작하다'** - 15세기- 적극적이며 어떤 것을 성취하는 사람 - 17~18세기 - 위험한 해외무역에 종사하는 상인 =모험적 경제활동 - 19세기 후반 - 새로운 기술을 발명하여 실용화해 기업적으로 성공한 사람들 ### 기업가 정신에 대한 다양한 견해 - 리샤르 캉티용: 창업가는 ==**모험적 경제활동**==을 하는 사람 - 슘페터: ==**창조적 파괴**==(creative destruction) - 피터 드러커: 변화를 탐구하고 변화에 대응하며 변화를 기회로 이용하는. ### 창업가 정신 VS 기업가 정신 - 창업가: 새로운 사업을 만드는 사람 - 기업가: 기회추구, 혁신적 사고와 행동, 새로운 가치창출 - **혁신성: 성공적인 기업가는 창조적 파괴를 통해 늘 변화한다.** - **진취성: 성공적인 기업가는 새로운 기회를 한 발 앞서 포착한다.** - **위험감수성: 성공적인 기업가는 위험을 예측하고 통제한다.** - **도전정신: 성공적인 기업가는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한다.** <br><br> ## 1-2. 기업가 정신을 배우는 이유 ### ==후츠파(Chutzpah) 정신== - 이스라엘을 일으킨 후츠파 정신, 창업 국가 - 형식은 부수고, 질문하고, 어울리고, 위험은 감수하고, 목표 지향적이고, 끈질기고, 실패로부터 교훈을 얻는. ###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징과 필요 역량 - 변동성 → 회복력 - 불확실성 → 적응력 - 복잡성 → 집중력 - 모호성 → 창의력 - 미래 문해력 ### 사내기업가 - 직장 내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나가는 구성원, 자발적으로 자신의 자원과 노력을 투입함 - ==**상시기능형 사내기업가정신**==: 신사업조직 없이 재원을 가지고 누구나 아이디어제시, 유망아이디어 사업화 - ==**옹호형 사내기업가정신**==: 전담조직을 꾸리되 별도 재원은 없음. e.g. 연구개발센터, 기술사업소 - 기존사업 연계 또는 재원조정 - 아이디어부터 사업화 단계별 변화를 독려 - **==생산자형 사내기업가정신==**: 공식전담조직도 있고 예산/재원도 있음. e.g. 삼성전자 ### ESG 경영 - Environment, Social, Governance(기업 지배구조) - 기업이나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세 가지 핵심 요소 <br><br> ## 2. 기업 성공 사례들 ### 플랫폼으로 성공한 해외 기업 - 국내 기업 - 무신사, 야놀자, 당근마켓, 배민, 그립컴퍼니, 더클로젯컴퍼니, 마켓컬리 - **==해외 기업==** - 아마존: 가장 고객중심의 회사가 되는 것,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어떤 것이든 찾을 수 있는 곳을 만들기 위해 - 전략은 변하지 않는 것에 토대를 두어야 한다. - 구글: 상식 깨고, 실험하고, 사용자 체험 우선, 창조, 최고의 인재, 악하지 않아도 돈은 벌 수 있음 - **애플**: 고객 요구 파악, 창의적인 아이디어, 연구개발, 새로운 시장, 협력사와 공생관계 ### 핵심 역량 - 실패를 과정으로 인정하기 - 당연한 것을 다르게 보기 (관찰-발견-융합-세분화) - 그만두지 않는 힘 <br><br> ## 3. 기업가 역량지표의 이해 ### 성공하는 기업가의 역량, Competency ![[Competency 1.png|w90|center]] ![[Competency 2.png|w90|center]] ![[Competency 3.png|w90|center]] ### 기업가 정신 지수 측정 ![[Competency 4.png|w90|center]] ![[Competency 5.png|w90|center]] ### 기업가 분석 - 스티브잡스: 실행력, 자유로운, 호기심, 일 사랑, 직관력 - 래리 페이지 & 세르게이 브린: 정보 조직화, 창의적, 포용성, 선택과 집중, 기본과 심플 ### 코로나 이후의 5가지 변화 - Workstyle Transformation : 비니지스 분야의 DT 가속화 - Lifestyle Transformation : 의 식 주 행 교육 오락 치유 등 - Digital Healthcare : 바이오 디지털 그리고 헬스의 중요성 - 한국의 경쟁력, 제조업 : 토로나 위기에 빛을 발한 제조업 - Post-Corona Class Divide : 사회계층의 양극화 심화 ### 다양한 용어 - Grit: 열정 + 끈기 - 죽음의 계곡(**데스밸리**): 아이디어에서 기술 개발, 제품 양산까지의 험난한 과정을 이르는 말 - ==**다윈의 바다**==: 신제품 양산에 성공하더라도 시장에서 다른 제품과 경쟁해 이익을 내기가 어려운 상황 <br><br> ## 4. 창의적 문제해결 기법 ### ==6Hat(6가지 색깔 생각 모자 기법)== ![[6Hat.png|w70|center]] - 서로 다른 사고의 유형을 상징하는 6가지 각기 다른 색의 모자를 쓰고 자신이 쓰고 있는 모자의 색깔이 표상하는 유형의 사고를 하게 되는 것 - 백색: 중립적이고 객관적 사실, 자료, 정보 공유. 우리가 가진 정보는 무엇인가, 어떤 정보가 필요한가, 어떻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것인지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. - 적색: 감정, 느낌, 육감과 직관. 아이디어를 듣는 순간의 직관적인 느낌을 이야기한다. - 흑색: 비판적 사고에 근거해 어떤 것의 실패의 이유, 잠재적 문제 등을 살핀다. - 황색: 아이디어가 가진 장점에 주목. 낙관적, 긍정적, 건설적 기회를 따져본다. - 녹색: 새로운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제안하며 창의적, 측면적 사고, 여러가지 해결방안을 제안한다. - 청색: 아이디어를 검토하는 과정이 잘 전개되고 있는지 살핀다. 요약, 개관, 규율의 강조, 이성적 합리적 사고를 의미한다. ### PMI(Plus.Minus.Interest.) 기법 - 특정한 문제의 긍정적인 면, 부정적인 면, 흥미로운 점을 각각 기록한 다음 이들 각각에 대한 문제 해결자 나름의 진단을 통해 이익이 되는 점을 찾는 기법 1. Plus. 제시된 아이디어의 좋은 점 (당신이 좋아하는 이유) 2. Minus. 제시된 아이디어의 나쁜 점 (당신이 싫어하는 이유) 3. Interest. 제시된 아이디어와 관련하여 흥미롭게 생각되는 점 ### ==스캠퍼(SCAMPER)== - 스캠퍼 구성 - Substitute: 대체하기 - Combine: 결합하기 - Adapt: 적용하기 - Modify, Magnify, Minify: 변형, 확대, 축소하기 - Put to other uses: 다르게 활용하기 - Eliminate: 제거하기 - Reverse, Rearrange: 순서 바꾸기, 재배열하기 - 스캠퍼 기법은 SCAMPER 순서를 반드시 따라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**상황에 맞게 적절한** 질문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- 사고의 영역을 7개의 키워드로 정해놓고 이에 맞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한 뒤 실행 가능한 최적의 대안을 골라내기 때문에 구체적인 안을 도출하기 쉽다. ### ==트리즈 기법== -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 - 세상의 **모든 문제는 모순에서 출발**하고 그 모순의 해결법은 40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고 생각함 ### 디자인 씽킹 - 사물을 아름답게 하는 것 X, 문제를 해결하는 것 O - 디자인은 현재 상태를 더 나은 상태로 바꾸는 것 - 소비자들이 가치 있게 평가하고, 시장의 기회를 이용할 수 있으며, 기술적으로 가능한 비즈니스 전략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**디자이너의 감수성과 작업 방식을 이용하는 사고 방식** - ==**디자인 씽킹 과정**== 1. 공감(발견하기): 관찰, 면담, 경험 2. 문제 찾고 정의하기 3. 아이디어 내기: 평가금지, 질보다 양, 표현의 자유 4. 시제품 만들기(실험하기): 싸고 빠르게 시각화해서 5. 평가하기(발전시키기): 실패해도 좋음, 피드백 후 반복 <br><br> ## 5. 아이디어 기획 ### ==기획의 4가지 구성요소== - Why, 기획 배경: 왜 해야하는지? 배경/문제 - What, 제안 내용: 뭘 할 것인지. 제안/개요 - How, 실행 방안: 진행 계획은? 방안/계획 - If, 예상 성과: 기대성과는? 예상 성과 ### ==기획서 VS 제안서 VS 보고서== - 기획서 - 작성내용: 기획의도 및 배경, 시장조사, 리스크분석, 사업추진계획 - 작성목적: 신사업 또는 프로젝트, 신규서비스 오픈 - 제안서 - 작성내용: 제안배경, 기대효과, 회사소개, 제안사업 등 - 작성목적: 기술, 제품 서비스용역 등을 상대방회사에 제공 - 보고서 - 작성내용: 프로젝트 개용, 추진경과, 내용, 문제점 및 평가, 개선방안 - 작성목적: 추진과정 및 결과에 대하여 중간 또는 결과보고서 작성 등 <br><br> ## 6. 창업 설계 로드맵 ### ==창업 프로세스== ![[창업 프로세스.png|w90|center]] - 살아남는 기업은 - 빨리(먼저): 빨리하면 혁신이고 늦으면 비용 - 위험감수: 주저하지 말고 과감하게 - 혁신: 기존의 방법이 아니라 새로운 <br><br> ### 기술창업의 여정 ![[기술창업의 여정.png|w90|center]] - 창업 여정 - ==**아이디어 단계 → 시제품제작 단계 → 제품상용화 단계 → 시장진입 단계 → 성장 단계**== ### ==아이디어 단계== ![[아이디어 단계.png|w90|center]] - 목표시장 설정 - **유효한 후보시장 선정** - 목표 고객의 지불 능력 - 목표 고객이 판매 조직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지 - 구매할 수 밖에 없는 이유 - 완제품 당장 출시 가능한지 - 난공불락의 경쟁자가 버티고 있는지 - 세분시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다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지 - 창업팀의 가치관, 목표에 부합하는 시장인지 - 타겟 고객 설정 - 고객의 역할 인식 후 고객 프로파일 작성 - 사용자: 사용자의 요구와 선호도 고려 - 의사결정자: 구매에 영향을 끼치는 의사결정자 - 구매자: B2C는 사용자와 구매자가 보통 일치함, B2B/B2G는 의사결정자의 지시에 따라 구매자=담당자가 구매함 - 인플루언서: 고객이 특정 제품/서비스를 구매하는 데 영향을 미침 - 아이디어 발상 - 문제 정의 - 특정고객, 니즈, 통찰 - 특허, 논문, 창업교육 등 검색해보기 ### 시제품제작 단계 ![[시제품제작 단계.png|w90|center]] ### 제품상용화 단계 ![[제품상용화 단계.png|w50|center]] ### 시장 진입 및 성장 단계 ![[시장 진입 및 성장 단계.png|w90|center]] ###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주요 원인 1. 비적절한 런칭시기 13% - 너무 이른 출시는 첫인상이 부정적이고 너무 늦은 출시는 시장에서의 기회를 상실함 2. 소비자 무시 14% - 고객의 니즈보다는 나의 제품만 최고라 여김 3. 마케팅 문제 14% - 타겟 고객을 인지하고, 그들의 관심을 끌어야 함. 제품 개발 뿐만 아니라 마케팅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함 4. BM 부재 17% - 비즈니스모델이 불충분하면 투자자금 유치 실패로 이어짐, 단일 모델만 고집하면 규모 확대시 매출 향상에 비효율적 5. 소비자 비친화적 제품 17% - 제품의 사용방법 등이 불편하면 소비자가 외면함 6. 가격문제 18% - 높은 가격은 제품출시비용 해결에 도움되지만 매출에는 악영향임, 낮은 가격은 소비자 유인에는 도움되지만 수익에는 악영향임 7. 경쟁에서 도태 19% - 아이디어가 좋아 시장의 인증을 받더라도 시장 진입에 대한 허가일뿐임 8. 적합한 팀이 아님 23% - 팀은 회사 성공에 아주 중요한 요소임. 기술 혹은 마케팅만 중시하면 실패를 불러옴 9. 현금유동성 위기 29% - 돈과 시간은 제한적임. 제품 개발, 제품 출시, 제품 보완, 피벗팅 등에 많은 자금이 소모됨 10. 시장 수요부재 42% - 시장 수요에 부흥하지 않고, 자신이 개발하고 싶은 제품의 문제 해결에만 몰두. 소비자가 원하지 않는 제품의 출시는 기업이 망하는 지름길임 <br><br> ## 7. 창업지원제도 ### 창업가계도 ![[창업가계도.png|w90|center]] ![[창업가계도 2.png|w90|center]] ### 공공 지원사업 지원 종류 - **사업화 지원** - 사업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시제품제작, 인건비,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 지원 등 - 패키지형태의 지원은 사업화 전반에 걸쳐 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음 - 각 사업에 필요한 비용의 종류에 따라 몇가지로 제한되는 사업이 있을 수 있음 - 예시: 예비창업패키지, C-seed 청년스타트업 육성사업, 마케팅지원사업 - **기술개발(R&D) 지원** - 기술을 발전 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비 위주의 지원 - 연구 인력, 연구 인프라 등이 확보되어야 하며 기술료를 내야하는 경우도 있음 - 발주 기관의 기술 수요와 기업의 기술 개발의 분야가 잘 맞아야 함. - 예시: 창업성장 R&D, 각 부처의 기술별 R&D 사업 - **투자&보증 지원** - 투자 매칭, 펀드 조성을 통한 지원 - 대출 보증을 통한 자금 지원 - 예시: 엔젤투자매칭펀드,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제도 - **네트워크, 행사 지원** - 투자자, 대기업 등 사업 전략상 필요한 사람과의 매칭을 위한 네트워크형 행사 개최 - 창업교육, 멘토링, 아이디어 피칭 대회 등 단계별 다양한 네트워크 지원 - 예시: 엔젤투자리더스포럼, 실전창업교육, C-Academy, CLUTCH, DASH 멘토링 지원 ### 단계별 사업화 지원 ![[단계별 사업화 지원 1.png|w90|center]] ![[대구 단계별 사업화 지원.png|w90|center]] - 투자 및 R&D 연계 지원 - 엔젤투자 매칭펀드 - 기업가치 70억원 이하인 스타트업에게 총 6억원 이내의 투자 지원 - 민간(엔젤)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의 최대 2.5배까지 지원 가능 (수도권 2배, 이외 지역 2.5배) - 크라우드펀딩 투자형의 경우 최대 2배수까지 지원 - 민간주도형 기술창업지원 - 민간 투자자로 구성된 TIPS 운영사의 투자를 받고, 추천된 스타트업에 R&D, 창업, 마케팅 자금 지원 - 1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아야 하며, 2년간 최대 7억원 정도의 자금을 지원받게 됨. - Pre-TIPS, Post-TIPS 등의 사전, 후속 연계 지원 사업들이 마련되어 있음 - 대출보증 지원 - 기술보증기금 보증제도 - 기술개발 계획서를 검토하여 기술가치를 평가하고 이에 따라 대출 보증을 지원하는 제도 - 직접 자금을 지원해준다기 보다는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보증을 지원하는 형태 - 기술개발 능력, 제품화 능력, 생산 능력 및 경영상태, 자금상태 등을 확인하고 진행하는 절차 - 최근 예비창업자 사전 보증, 직접 투자 등 다양한 지원을 확대해나가고 있음 - 신용보증기금 - 담보가 부족한 기업을 대상으로 기금이 기업의 신용도를 평가하여 보증을 지원하는 제도 - 창업분야의 유망창업성장지원, 퍼스트펭귄 보증 제도 등 미래성장성에 가치를 두고 보증 - Startup NEST 등 창업지원, 투자지원 등도 확대해나가는 추세 ### 지원사업 포탈 - K-Startup - DASH (대구창업허브) <br><br> ## 8.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### 비즈니스 모델이란 ![[비즈니스 모델 1.png|w70|center]] - 사업 아이디어를 가지고 어느 시장에서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어떤 방법으로 전달하고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에 대해 방향을 정하는 것 ### ==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란== - 예스 피그누어가 '비즈니스 모델의 탄생'이라는 저서를 통해서 제안한 캔버스로, 9가지 블록으로 구성 - 고객 세그먼트, 가치제안, 채널, 고객관계, 수익원, 핵심자원, 핵심활동, 핵심 파트너십, 비용구조 ![[비즈니스 모델 캔버스.png|w90|center]] 1. **CS(Customer Segments): 고객 세그먼트** - 하나 이상의 고객 세그먼트에게 상품/서비스를 제공함 - 누구를 위해 가치를 창조해야 하는지, 누가 우리의 가장 중요한 고객인지 파악해야 함 - 고객을 인구통계학적 기준(30대 남성) 보다는 심리적/행동적 특성(~에서 ~음식을 먹고싶은 소비자)으로 정의 - **매스마켓: 대부분의 고객을 포함하는 시장** - **틈새시장: 기존에 형성된 큰 시장과 틈새에 형성된 시장** - **멀티사이드시장: 2개 이상의 개별적인 타겟 그룹으로 형성된 시장** 2. **VP(Value Propositions): 가치 제안** - **고객이 처한 문제를 해결해주고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특정한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상품/서비스 제공** - 고객에제 전달할 가치, 우리 가치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지, 고객의 니즈를 충족하는지 고려 - **사회적 영향, 생활 변화적, 감정적, 기능적**: 우수한 성능, 혁신, 싼 가격, 기존 고객에게 비용절감의 기회, 높은 브랜드 지위, 특정 고객을 위한 개인화, 탁월한 디자인, 편의성, 위험 회피의 기회, 접근성 높임 등등 3. **CH(Channels): 채널** - **제공하는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법** - 각각의 고객 세그먼트가 원하는 채널, 우리가 그들에게 다가갈 방법, 효과적인 채널, 비용이 효율적인 채널 고려 - ==**직접적인 채널: 영업부서, 웹사이트 운영**== - ==**간접적인 채널: 직영 매장, 파트너 매장, 도매상 등**== 4. **CR(Customer Relationships): 고객 관계** - **특정한 고객 세그먼트와 어떤 형태의 관계를 맺는 것** - 각각의 고객 세그먼트 별로 특징적으로 확립되고 유지됨 - 어떻게 하면 고객을 더 확보할지, 계속 유지할지, 판매를 촉진할지 고민 - 개별 어시스트: 판매직원, 콜센터 상담원 - 매우 헌신적인 개별 어시스트: 프라이빗 뱅킹 서비스 - 셀프서비스 : 고객 스스로 니즈를 해결하도록 서비스 제공 - 자동화 서비스 : 취향별 도서나 영화 추천 - 온라인 커뮤니티 - 코-크리에이션: 고객들이 리뷰 반영과 제품 개발에 참여 5. **RS(Revenue Streams): 수익원** - 고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를 성공적으로 제공했을 때 수익을 얻음(각 고객 세그먼트로부터 창출하는 현금) - 어떤 가치를 위해 기꺼이 돈을 쓰는지, 현재 어디에 어떻게 돈을 지불하는지, 각 수익원이 전체 수익에 얼마나 기여하는지, 채널과 고객을 위한 업무가 제대로 통합되어 있는지 - ==**이용료, 가입비, 라이센싱, 광고, 물품판매, 대여료/임대료, 중개수수료 등**== 6. **KR(Key Resources): 핵심자원** - 앞의 다섯가지를 실현하기위해 자산으로서 핵심자원 필요, **비즈니스를 원활히 진행하는데 필요한 중요자산** - 가치 제공을 위해 어떤 핵심 자원이 필요한지, 공급 채널을 위해서는 어떤 자원이 필요한지, 고객관계와 수익원을 위해서 어떤 자원이 필요한지 - 물적자원: 공장, 공장설비, 자동차, 기계, 시스템 등 +인적자원, 지적자산 7. **KA(Key Activities): 핵심활동** - 앞의 다섯가지를 실현하기위해 여러 유형의 핵심활동이 수행됨, **제대로 비즈니스를 영위하기 위한 일들** - 가치 제공을 위한 핵심 활동, 공급채널을 위한/ 고객관계와 수익원을 위한 활동 - 생산: 제품을 설계, 제작, 운송하는 것 - 문제 해결: 고객이 처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내는 것 - 플랫폼/네트워크: 플랫폼을 핵심자원으로 설계된 비즈니스 모델은 플랫폼이나 네트워크와 관련된 핵심활동에 의해 지배됨 8. **KP(Key Partnerships): 핵심 파트너쉽** - 특정한 활동들은 아웃소싱에 의해 수행되며, 조직외부에서 얻어짐 - 누가 우리 파트너고, 핵심 공급자고, 파트너로부터 어떤 자원을 얻을 수 있꼬, 파트너가 어떤 핵심활동을 수행한느지 - 비경쟁자간들의 전략적 동맹, 경재자들간의 전략적 파트너십, 조인트 벤처, 안정적 공급을 위한 '구매자-공급자' 관계 9. **CS(Cost Structure): 비용구조** - 비즈니스 모델의 여러 요소를 수행하자면 비용이 듦 - 우리 BM의 가장 중요한 비용이 뭔지, 가장 중요한 비용이 뭔지, 어떤 핵심 자원 확보/수행하는데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지 - 고정비: 매출액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변하지 않고 발생하는 비용 - 인건비(정규직원), 월세, 화재보험료, 광고선전비, 감가상각비 등 - 변동비: 매출액이 변할 때 매출액 크기와 일정비율을 유지하면서 같이 변하는 비용 - 원재료비, 인건비(파트타임), 광고선전비(비정기적 광고) 등 ### ==가치 제안 캔버스== - 고객과 비즈니스의 가치창출을 위한 도구로, 고객을 이해하고 제품과 서비스가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. ![[가치 제안 캔버스.png|w70|center]] - 가치 맵 - 제품과 서비스: 가치 제안과 수단이 되는 제품과 서비스 - 혜택 창출 방안: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고객의 혜택을 창출하는 방법 - 불만 해소 방안: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고객의 불만을 경감시키는 방법 - 고객 프로파일 - 고객 활동: 고객이 자신의 일과 삶 속에서 행하는 활동들 - 혜택: 고객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물, 그들이 추구하는 실질 혜택 - 불만: 고객 활동과 관련한 불만족스러운 결과물, 리스크, 장애물 <br> <br> <br> <br>